모두의 네트워크 - 제2장(lesson06~08)
프로토콜, OSI 모델과 TCP/IP 모델, 캡슐화와 역캡슐화
모두의 네트워크 - 제2장(lesson06~08)
Lesson 06 네트워크의 규칙
❗️연관 정보 타 블로그와 사이트도 참조하였음
프로토콜(protocol)이란?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프로토콜 구성 요소
- 형식(Syntax : 문법,구문)
- 데이터 포맷(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 “데이터 포맷” : 통신,처리,해석하는데 적합하도록 형식화 된 표현(Syntax)
- 의미(Semantic)
-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동작을 할 것인가 결정
- 전송의 조정 및 오류 처리를 위한 제어 정보 등
- 타이밍(Timing)
- 속도 일치 및 순서 제어 등
프로토콜의 주요 기능
- 에러 제어 (Error Control)
- 전송 중 에러 검출 및 에러 정정
- 캡슐화 (Encapsulation)
- 통신계층 상의 각 계층이 자신 만의 특정제어정보(주로 Header)를 추가하는 것
- 연결 제어 (Connection Control) 또는 세션 관리
- 연결지향적 통신에서 연결설정,데이터전달,연결종료 절차의 제어
- 순서 제어 (Sequence Control)
- 순서 역전, 중복 패킷 발생 등의 방지
- 흐름 제어 (Flow Control)
- 보낼 데이터량/전송률의 제한
- 혼잡 제어 (Congestion Control)
- 포화/대기 패킷 수의 제한을 위한 제어 기법
- 동기화 (Synchronization)
- 송수신 양측 간에 시간 관계(주로,위상)의 일치
- 주소 지정 (Addressing)
- 호스트/디바이스/프로세스 등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 단편화 및 재조립 (Segmentation and Reassembly,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 데이터의 형식화 (Data Formatting) 등
계층(Layer)별 프로토콜의 종류
|Layer|프로토콜| |—|—| |응용(Application)|HTTP,SMTP,FTP,Telnet,DNS,POP3…| |표현(Presetation)|SSL,SSH,ASCII,MPEG,JPEG,MIDI…| |세션(Session)|NetBIOS,SAP,SDP,NWLink…| |전송(Transport)|TCP,UDP,SPX…| |네트워크(Network|IP,IPX…| |데이터 링크(Data Link)|Ethernet,Token Ring…| |물리(Physical)|-|
❗️주된 프로토콜에 대한 것은 참조할 것 => 자비스가필요해-주요 프로토콜 정리
Lesson 07 OSI 모델과 TCP/IP 모델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한 통신 규격이 정해져 있다. ‘통신 규격’에 대해 알아보자
OSI 모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 표준화기구 에서 OSI 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하였다. 데이터 송수신은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것을 7개의 layer로 나누어서 표현한 모델이다.
계층(Layer) | 이름 | 설명 |
---|---|---|
7계층 | 응용(Application) | 이메일&파일전송, 웹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제공 |
6계층 | 표현(Presetation) | 문자코드,압축,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 |
5계층 | 세션(Session) | 세션 체결, 통신 방식을 결정 |
4계층 | 전송(Transport) | 신뢰할 수 있는 통신 구현 |
3계층 | 네트워크(Network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를 결정 |
2계층 | 데이터 링크(Data Link) |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 |
1계층 | 물리(Physical) |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 |
그럼 데이터는 어떻게 전달 될까????
TCP/IP 모델
❗️ OSI모델의
응용
,표현
,세션
세가지의 계층이 TCP/IP에서는응용 계층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는 걸 놓치지 말자.
Lesson 08 캡슐화와 역캡슐화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는 캡슐화와 역캡슐화가 이루어진다.
캡슐화와 역캡슐화란?
- 데이터를 보낼 때는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에 추가해야 하는데 이 정보가
헤더
- 요청 데이터에서 계층을 지날수록 필요한 헤더를 추가해 나가는 것이
캡슐화
- 데이터를 수신 할때 캡슐화된 데이터에서 각 계층에서 받은 헤더를 제거해 나가는 것을
역캡슐화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